목재자원공사 설립,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목재소식

본문 바로가기

목재소식

목재자원공사 설립,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날짜   25-11-21 17:22
  • 조회수   117회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본문

35235f26af088a12a833193eeaee1ad0_1763713331_3992.png
AI로 제작한 가상 목재자원공사 조감도
 

ㆍ 국산목재 산업화의 ‘허리’, 이제는 제도화로

산림청이 추진 중인 ‘산림순환경영’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만으로는 부족하다. 이제는 자원을 공공적으로 수집하고, 합법적으로 인증하며, 투명하게 추적할 수 있는 국가 인프라가 필요하다. 그 핵심이 바로 ‘목재자원공사’ 설립이다.

목재자원공사는 산불피해목, 재선충 감염목, 간벌재, 노령림 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제재·건조·가공·유통을 통합 관리하는 공공 플랫폼이다. 동시에 국산목재의 합법성 인증과 이력추적(Traceability) 기능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향후 DPP(디지털 제품여권)와 EUDR(유럽산림전용방지규 정) 등 국제 규제에도 대응할 수 있는 국가 단위 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ㆍ 숲이 자라도 산업은 멈춰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축적량은 60년 만에 30배 이상 늘었지만, 이용률은 여전히 낮다. 국산 원목 약 500만㎥ 중 80% 이상이 펄 프·보드용으로 소비되고, 제재용으로 활용 되는 비율은 15~20시%에 불과하다. 결국 산은 풍성해도 ‘쓸 수 있는 나무’는 부족한 기형적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유는 명확하다. 국내에는 원목을 공공적으로 수집· 선별·저장할 조직이 없다. 산림조합은 손을 놓았다. 벌목업자는 직경과 품질에 따른 선별 인센티브가 없고, 제재소는 불안정한 품질의 원목을 비싸게 구매해야 한다. 산주와 산업, 행정이 따로 움직이는 구조 속에서 국산재의 부가가치는 떨어지고 수입 의존도는 85%를 넘었다.

 
ㆍ 공급·인증·수출까지 잇는 국가형 플랫폼

목재자원공사는 단순한 유통기구가 아니라, 공급에서 인증까지 잇는 통합 플랫폼이다. 주요 기능은 ▲산불·병충해·간벌재 등의 공공 수집 ▲제재용 원목의 선별·박피·건조·저장 ▲활엽수 자원의 내장재·가구재 가공 ▲국산 합법목재 인증과 이력추적 관리 ▲탄소저감 통계 구축이다.

이 체계가 완성되면 산림에서 생산된 원목이 어디로, 어떤 용도로 쓰였는지 전 과정이 투명하게 기록된다. 이 정보는 곧 DPP와 EUDR이 요구하는 ‘목재 출처 증명’의 핵심 데이터가 된다. 즉, 목재자원공사는 국산목재 산업을 지탱하는 동시에 수출 경쟁력까지 확보하는 제도적 허브가 되는 것이다.

 
ㆍ 버려지는 나무, 매년 수백억 원 손실

윤형운 (사)국산목재용기술협회 회장은 “지금도 산불피해목과 재선충 피해목 등 이용 가능한 원목이 매년 수십만㎥씩 버려지고 있다”며 “이를 구조재로 전환하면 수 천억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분석에 따르면 국산 낙엽송·소나무의 구조재 전환률을 20%에서 50%로 높이면 부가가치 차이는 4,000억 원 이상에 달한다. 탄소 감축과 수입 대체 효과까지 감안하면 국가 순편익은 2조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버려지는 목재를 자원화하는 일은 단순한 환경사업이 아니라 국가 산업 전략이자 탄소중립정책의 일부인 셈이다.

 
ㆍ 일본의 ‘공영 유통체계’는 이미 40% 자급 달성

“일본은 2000년대 초부터 각 현(縣) 단위의 산림조합연합회와 목재공동판매소(共販所)를 중심으로 공공성이 높은 공공목 재유통정비사업을 해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자금과 시설을 지원하고, 산림조합이 운영을 맡는 공영형 구조다.” 공공이 원목을 집하·계량·등급화해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산주와 제재소 간 신뢰를 회복했다.

그 결과 일본의 국산재 이용률은 40%를 넘어섰고, 이를 기반으로 CLT·Glulam 등 공학목재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다. 한국도 이제 공공 집하·인증체계 없이는 산림순환경영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산림조합이 이 기능을 사실상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당장 ‘목재자원 공사’를 세워서라도 산주와 목재산업과 소비자를 만족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ㆍ 숲의 순환경제, 인증으로 완성된다

산림순환경영은 ‘심고, 가꾸고, 쓰고, 다시 심는’ 순환을 의미한다. 그러나 ‘쓴다’는 것은 단순한 벌목이 아니라 합법적이고 투명하게 쓰는 것을 뜻한다. 이제 목재산업은 단순히 생산만 하는 산업이 아니라, 이력과 인증을 경쟁력으로 삼는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윤 회장은 “목재자원공사는 공급의 혁신 뿐 아니라 DPP와 EUDR 등 국제 규제 대응의 핵심 기관이 되어야 한다”며 “국산목재가 세계 시장에서도 신뢰받는 ‘합법목재 브랜드’로 자리잡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한국목재신문(https://www.woodkorea.co.kr)

Related Contents

A-dong No. 2811, 323, 107, Incheon tower-daero (Songdo-dong) , Yeonsu-gu, Incheon, Republic of Korea copyright (C) 2018 get coorperation all rught reserved.